반응형
평발, 특히 아치가 무너진 형태의 평발(collapse of the medial longitudinal arch)은 단순한 발 구조 문제를 넘어서
무릎, 고관절, 허리 등 전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입니다.
이를 개선하고 통증을 줄이기 위해선 정형외과적, 물리치료적, 운동 재활, 생활 습관 등 다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.
저희 큰 아이가 완전히 아치가 무너진 평발이라 검색하다보니 은근히 평발 등으로 고생하시는 분들이
많더라구요. 그래서 제 나름 공부를 해서 요약해봤습니다.
✅ 1. 해부학적/의학적 이해
- 정상 발 아치는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.
- 아치가 무너진 평발은 충격을 제대로 분산하지 못하고,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닿아
**과내전(overpronation)**이 발생함. - 시간이 지나면 발목, 무릎, 골반, 척추에까지 부하가 증가할 수 있음.
🩺 2. 의학적 접근 (정형외과)
① 진단
- 엑스레이, 체중부하 촬영으로 아치 붕괴 정도 확인.
- 필요 시 MRI로 인대나 건 손상 여부 확인.
② 처치
- 맞춤형 족부 보조기(인솔): 발 아치를 지지하여 아치 붕괴를 막고 통증 완화.
- 진통제/소염제: 염증이나 통증이 심할 때 단기적으로 사용.
- 수술적 치료: 매우 심한 경우 (예: 후경골건 기능부전 등)에서만 고려.
🧘♂️ 3. 물리치료 및 재활운동
① 아치 회복 운동
- Towel curl: 수건을 발가락으로 끌어당기기 → 내재근 강화
- Short foot exercise: 발바닥 아치를 짧게 수축시키는 운동
- Toe spreading: 발가락 벌리기 연습 → 발의 근육을 활성화
- 발가락 걷기 / 발뒤꿈치 걷기: 근력 강화
② 종아리, 발목 강화
- 힐 레이즈 (Heel raises): 종아리 근육 강화 및 후경골근 기능 개선
- 밴드 저항 운동: 발목 안정화 근육 강화
③ 폼롤링과 스트레칭
- 족저근막, 종아리 근막 이완 → 발바닥과 아킬레스건 유연성 확보
🏃 4. 운동학적 관점
① 정렬 개선
- 평발은 발 과내전 → 무릎 내반 → 고관절 내회전 → 골반 전방경사로 이어질 수 있음.
- 전신 체형 교정이 중요.
② 체중 관리
- 과체중은 아치에 지속적인 부담을 줌 → 체중 감량은 근본적인 부담 감소
③ 올바른 신발 선택
- 아치 서포트가 있는 신발
- 뒤꿈치 부분이 단단하고 안정적인 구조
- 맨발 신발이나 슬리퍼는 장기적으로 해로울 수 있음
🧠 5. 신경근 조절 및 자세 개선
- 센서리 트레이닝 (감각 훈련): 발바닥 감각 자극 → 신경계의 피드백 개선
- 자세 교정 프로그램: 무릎-고관절-발의 연결성을 고려한 전신 훈련
🍎 6. 생활 습관 및 예방법
- 장시간 서 있거나 걷는 환경 줄이기
- 실내에서 맨발보다는 아치 지지 슬리퍼 착용
- 평소 발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 습관화
- 매일 발의 피로를 풀기 위한 족욕, 마사지 병행
📋 정리: 평발 개선을 위한 통합 접근 요약
접근내용
정형외과 | 보조기 착용, 약물, 필요 시 수술 |
물리치료 | 아치 강화 운동, 근막 이완 |
운동 | 종아리/발목 강화, 자세 교정 |
신발 | 아치 서포트 인솔 or 기능성 신발 |
생활습관 | 체중 관리, 바른 자세, 스트레칭 |
요즘은 평발에 대한 기준치가 높아져 웬만해서는 군면제를 받기는 어렵다고 합니다.
오히려 본인이 평발이거나 발에 대한 불편감이 있다면 미리미리 교정 혹은 치료를 해서 군생활에서
불편함이 없도록 해야겠네요.
반응형